본문 바로가기
알쓸정보

보건증 발급방법 보건소에 직접 방문해야 하는 경우는?

by 애플수박 2025. 4. 7.
반응형

 

인터넷으로도 보건증을 발급받을 수 있지만, 일부 경우에는 반드시 보건소에 직접 방문해서 발급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왜 직접 방문해야 하는지, 어떤 경우에 그런지, 그리고 방문 시 발급받는 방법까지 모두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보건증 보건소에서 발급받는 이유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를 통해 온라인으로 보건증을 발급받을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보건소에 직접 방문해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아래와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 

 

1. 일부 보건기관은 온라인 발급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보건지소 또는 지방의 보건기관은 온라인 연계가 되어 있지 않아, 직접 해당 기관을 방문해야만 보건증 발급이 가능합니다.

 

 2. 사립병원이나 비연계 병원에서 검진한 경우

공공보건포털은 보건소, 일부 의료원 등 공공의료기관과 연계되어 있습니다.

사립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경우, 인터넷으로 결과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보건소에서 서류를 직접 제출하고 발급받아야 합니다.

 

 

3. 결핵검사 및 특정 진단서가 필요한 경우

결핵검사나 장복결핵감염, 특정 외국인 진단서 등 추가 서류가 필요한 건강검진은 온라인상으로는 확인 및 발급이 어렵기 때문에 보건소 방문이 필요합니다.

 

4. 검사 결과가 '정상'이 아닌 경우

공공보건포털에서는 '정상' 판정 결과에 대해서만 인터넷 발급이 가능합니다.

결과가 재검, 유보 등의 상태라면 직접 보건소에 방문하여 상담 후 발급해야 합니다.

 

 

 

보건소에서 보건증 발급받는 방법

1. 사전 준비물 확인

•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 발급비용: 약 3,000원 내외(보건소마다 상이할 수 있음)

• 필요시 검사 비용 별도

2. 방문 전 전화로 운영 시간 및 절차 확인

보건소에 따라 발급 가능 시간, 검사 가능 요일이 다를 수 있어 사전 문의가 필수입니다.

• 질병관리청 대표 번호: 1566-3232 (보건증 관련 ARS 5번, 평일 09시~18시)

3. 건강검진받기

• 보건소에서 지정한 항목의 건강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예: 결핵, 장티푸스, B형 간염 등)

• 검사 후 결과는 3~5일 내에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4. 검사 결과 확인 후 보건증 수령

• 결과가 ‘정상’으로 확인되면 현장에서 바로 보건증을 출력해 줍니다.

• 필요시 컬러 인쇄 요청 가능

 

📌 본인 확인 시 주의사항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반드시 본인 확인이 필요합니다. 신분증이 없거나 본인 인증이 되지 않으면 발급 불가하니 주의하세요.

※ 공공보건포털에서 본인확인을 위한 공동인증서 로그인 시, 입력한 이름·주민번호·인증서 명의자 정보가 일치해야 함.

 

 

마무리 

인터넷 발급이 안 되는 경우엔 망설이지 말고 보건소에 방문하시면 됩니다. 검사부터 발급까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어 경우에 따라 더 빠를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